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 일자리 도약 장려금 – 사업장/청년 둘 다 받는 방법

by youth-info 2025. 4. 17.

청년 일자리 도약 장려금 – 사업장/청년 둘 다 받는 방법 - 파란 배경에 왼쪽은 안내 텍스트, 오른쪽에는 체크리스트를 든 청년과 공장 아이콘이 함께 배치된 정보 이미지

 

청년 일자리 도약 장려금 – 사업장/청년 둘 다 받는 방법 (2025)

청년 고용을 촉진하기 위해 정부가 지원하는 제도 중 하나가 바로 청년 일자리 도약 장려금입니다. 이 제도는 청년에게는 안정적인 일자리 기회를 제공하고, 사업장에는 최대 1,200만 원의 인건비 지원을 제공하는 양방향 지원 프로그램입니다. 2025년에는 요건이 일부 변경되었으며, 청년 본인도 이 제도를 활용해 장려금을 받는 회사에 우선 채용되는 전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청년 일자리 도약 장려금이란?

고용노동부가 운영하는 고용장려금의 일종으로,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한 중소·중견기업최대 1년간 월 100만 원까지 지원하는 정책입니다.

2025년 기준 지원 요건

항목 조건
📌 기업 요건 고용보험 가입 사업장 (중소·중견기업)
📌 청년 요건 만 15세 ~ 34세 이하 미취업자
📌 고용 형태 정규직 채용 및 6개월 이상 유지
📌 근속 요건 6개월 이상 근속 시 분할 지급

지원 금액

  • ✔ 1인당 최대 1,200만 원
  • ✔ 월 최대 100만 원 × 최대 12개월
  • ✔ 6개월 근속 시 600만 원 / 12개월 시 총 1,200만 원 지급

사업장 신청 방법

  1. 1️⃣ 고용노동부 워크넷 청년일자리 도약장려금 페이지 접속
  2. 2️⃣ 사업장 회원가입 및 참여신청서 제출
  3. 3️⃣ 청년 채용 후 고용보험 신고 및 근로계약서 등록
  4. 4️⃣ 근속확인 → 장려금 지급 청구

청년이 활용하는 방법

  • ✔ 워크넷에서 ‘일자리 도약 장려금 참여 기업’ 필터 검색
  • ✔ 이 제도를 활용 중인 기업은 고용안정도가 높은 편
  • ✔ 입사 후에도 정부 지원금이 지급되므로 기업 선호도 높음

실제 사례 예시

✔ 사례 A – 청년 구직자 입장

  • 청년 김OO (29세), 졸업 후 6개월 미취업 상태
  • 워크넷 통해 ‘도약 장려금 참여기업’ 필터 사용
  • 중소 제조업체 정규직 채용 후 → 1년 이상 근속 중
  • 👉 기업이 장려금 받아 인건비 절감 + 청년도 안정된 일자리 확보

✔ 사례 B – 사업주 입장

  • 인원 부족한 스타트업 운영자 이OO
  • 워크넷에서 제도 신청 후 청년 채용
  • 6개월 근속 시 600만 원, 12개월 시 1,200만 원 수령
  • 👉 실질적인 인건비 절감 및 장기근속 유도에 효과

주의사항

  • ✘ 단기계약, 프리랜서는 장려금 지급 대상 아님
  • ✘ 근속 6개월 미만 시 장려금 지급 불가
  • ✔ 기업/청년 모두 워크넷 가입 및 이력 등록 필수

결론

청년 일자리 도약 장려금은 청년과 기업이 동시에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고용지원 정책입니다. 고용안정성과 경제적 부담을 동시에 줄일 수 있어 활용도가 매우 높으며, 청년 스스로도 이 제도를 기반으로 ‘우대 채용’을 노려볼 수 있습니다. 청년 취업 준비 중이라면 이 제도를 활용하는 기업부터 노려보는 전략을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