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내일채움공제 vs 청년도약계좌 – 어떤 제도가 더 유리할까?
청년층이 목돈을 만들기 위해 선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정부 지원 상품으로는 청년내일채움공제와 청년도약계좌가 있습니다. 두 제도는 모두 정부가 일정 금액을 지원해주는 ‘자산형성 프로그램’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가입 조건, 지원 방식, 수령 시점 등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이 글에서는 두 제도를 구체적인 수치와 표를 통해 비교해드리며, 나에게 어떤 제도가 더 적합한지 판단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기본 개념 비교
구분 | 청년내일채움공제 | 청년도약계좌 |
---|---|---|
상품 유형 | 청년 고용 유지를 위한 공제(근속형) | 자산형성형 적금(자발적 저축형) |
대상 | 중소기업 정규직 청년 (입사 6개월 이내) | 근로/사업소득 있는 만 19~34세 청년 |
의무 기간 | 2년 또는 3년 근속 | 5년간 저축 유지 |
정부 지원 방식 | 퇴직 시 일시금 형태로 지급 | 매달 지원금 적립 (이자 포함) |
중도해지 시 | 전액 환수 (회사 퇴사 시) | 지원금 일부 환수 |
가입 조건 비교
항목 | 청년내일채움공제 | 청년도약계좌 |
---|---|---|
연령 | 만 15세 ~ 34세 | 만 19세 ~ 34세 |
소득 요건 | 월 300만 원 이하 | 연 소득 2,400만 원 이상 |
기업 조건 | 중소·중견기업 정규직 | 무관 |
가입 제한 | 입사 6개월 이내에만 신청 가능 | 자산형성상품 중복 불가 |
수령 금액 비교
두 제도는 조건에 따라 수령 금액이 달라지며, 다음은 일반적인 예시입니다.
조건 | 청년내일채움공제 | 청년도약계좌 |
---|---|---|
본인 부담 | 2년간 300만 원 | 5년간 최대 2,100만 원 |
정부+기업 지원 | 최대 1,200만 원 | 최대 2,900만 원 |
총 수령 예상액 | 1,500만 원 (2년) | 5,000만 원 (5년) |
실제 사례 비교
✅ 사례 A – 중소기업 신입사원
- 입사 3개월 차 / 정규직 / 월 소득 250만 원
- 청년내일채움공제 적합 – 2년 근속 후 1,200만 원 수령
✅ 사례 B – 프리랜서 웹디자이너
- 월 소득 230만 원 / 사업자등록 보유
- 청년도약계좌 적합 – 5년 저축 시 최대 5,000만 원 수령 가능
나에게 더 유리한 제도는?
- 📌 중소기업 정규직 청년이라면 → 청년내일채움공제가 더 유리
- 📌 프리랜서, 자영업자, 비정규직이라면 → 청년도약계좌 활용이 적합
- 📌 단, 두 제도는 중복 참여가 불가능하므로 사전 선택이 중요
결론
청년내일채움공제와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설계된 좋은 제도입니다. 하지만 제도마다 대상, 조건, 수령 방식, 적립 방식이 다르므로 자신의 현재 고용 형태와 향후 계획을 고려해 신중하게 선택해야 합니다. 한 번 가입하면 중도 변경이 어렵기 때문에, 가입 전 반드시 조건을 비교하고, 장기적으로 더 유리한 상품을 선택하길 권장합니다.